[경제읽기] 막 오른 미국 중간선거…결과 따른 한국 경제 영향은?<br /><br />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정 운영과 차기 대선까지 좌우할 중간선거가 오늘 미국 전역에서 실시됩니다.<br /><br />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한국 경제에도 영향이 있을 전망인데요.<br /><br />보다 자세한 내용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바이든 정부 2년에 대한 성적표이자 향후 미국 의회 권력을 결정지을 중간선거가 오늘 시작됩니다. 유권자 대다수는 이번 선거 결과를 가를 주요 변수로 '경제'가 꼽고 있다는데 분위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역사적으로 미국의 중간선거는 증시에 호재로 작용해왔다는 인식이 있는데요. 실제로 뉴욕증시가 중간선거를 앞두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 국내 증시의 반등 모멘텀으로도 작용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데 시장 반응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이번 미국 중간선거 결과가 미국 경제의 정책과 세계 경제에 어떤 변수가 될지도 궁금합니다. 우크라이나 지원부터 재정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의 입장이 상당히 달랐는데 승자별 경제 시나리오는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우리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선거 이후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어떻게 될 것 인가인데요. 한국 전기차가 보조금 지급 혜택에서 제외되는 우려가 큰 가운데 공화당이 법 개정을 거론했지만, 한국은행은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더라도 '개정 가능성은 낮다'는 입장입니다.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공화당이 승리할 경우, 달러 가치와 원·달러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환율 반응은 어떠할까요?<br /><br /> 올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자가 120만명으로 사상 처음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. 2017년 대비 3.6배가 늘어나게 됐는데 급증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며 최근 집값도 떨어지고 있는데요. 이달 말 고지될 종부세가 최근 부동산 시장 추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부분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. 공시가격이 실거래가보다 높은 아파트도 속출하고 있는데 조세저항이 커지진 않을까요?<br /><br />#미국_중간선거 #바이든 #인플레이션감축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